맨위로가기

에리스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불화와 다툼의 여신으로, 어원은 '분쟁'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밤의 여신 닉스의 딸이며, 전쟁의 신 아레스의 자매로 묘사되기도 한다. 에리스는 파리스의 심판, 트로이 전쟁의 발발 등 신화 속 사건에 관여하며, 전쟁터에서 군대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녀는 두 가지 에리스, 즉 파괴적인 전쟁과 경쟁을 일으키는 에리스와, 시샘을 통해 발전을 이끄는 긍정적인 에리스로 묘사되기도 한다. 에리스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 묘사되었으며, 현대 디스코디아주의 종교의 주요 인물로도 여겨진다. 또한, 왜행성 에리스와 뉴질랜드의 나방 종 이크누티카 에리스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화의 신 - 아레스
    아레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와 헤라의 아들이자 폭력적이고 잔혹한 전쟁의 신으로, 지혜로운 전쟁의 여신 아테나와 대비되며, 소아시아와 스파르타 등지에서 숭배받았고 아프로디테와의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로마 신화의 마르스와 동일시된다.
  • 속임수의 여신 - 모히니
    모히니는 힌두교 경전에 등장하는 비슈누의 여성 아바타로, 매혹적인 아름다움으로 데바들을 돕고 악마를 파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암리타를 되찾거나 바스마수라를 파멸시키는 이야기가 유명하고, 시바와의 결합으로 아이야파 같은 신이 탄생하기도 한다.
  • 속임수의 여신 - 아파테
    아파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기만, 사기, 속임수를 의인화한 여신으로, 밤의 여신 닉스와 어둠의 신 에레보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에리스의 조카이다.
  • 헤라의 자식 - 헤파이스토스
    헤파이스토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불과 대장장이, 장인의 신으로, 뛰어난 손재주로 신들의 무기와 도구를 만들며 절름발이 또는 불구로 묘사되는 특징을 지닌다.
  • 헤라의 자식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에리스 (신화)
기본 정보
아티카 접시에 묘사된 날개 달린 에리스, 기원전 575–525년경, 베를린 고대 컬렉션
날개 달린 에리스 (기원전 –525년경), 베를린 고대 컬렉션
신화그리스 신화
역할불화와 불협화음의 여신
로마디스코르디아
가계
부모닉스
자녀포노스
레테
리모스
알게아
히스미나이
마케
포노이
안드로크타시아이
네이케아
프세우데아
로고이
암필로기아이
뒤스노미아
아테
호르코스

2. 어원

"에리스"라는 이름은 "분쟁, 불화"를 의미하는 명사 ἔρις|에리스grc에서 유래되었으며, 어근은 erid-이고 어원은 불확실하다. 동사 ὀρίνειν|orínein|들어올리다, 자극하다, 흥분시키다grc와 고유명사 Ἐρινύες|에리니에스grc와의 연관성이 제안되었다. R. S. P. 비크스는 이러한 관계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없다고 보고 있으며, 이름의 원래 ι- 어간 때문에 ἐρείδω|ereídō|받치다, 지지하다grc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는 것을 배제한다.[2] 왓킨스는 "분리하다, 접합하다"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ere''-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제안했다.[3] 이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ἐρίζω|erízō|싸우다grc와 ἔρισμα|érisma|싸움의 대상grc을 포함한 여러 파생어를 낳았다.[2]

3. 가족 관계

Ἔρις|에리스grc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닉스(밤)의 딸이며, 닉스가 배우자 없이 낳은 많은 자녀 중 하나이다. 에리스는 여러 부정적인 개념들을 의인화한 자식들을 낳았다.[8]

에리스의 자녀
이름일반적인 번역비고
포노스수고, 노동, 고난헤시오도스는 그를 "고통스러운 포노스"라고 불렀다.[13]
레테망각, 잊음레테와 연관되며, 지하 세계의 망각의 강이다.
리모스기근, 굶주림성별이 불확실하며, 스파르타에서 특별한 존경을 받았고, 로마의 파메스와 동등하다.
알게아고통, 슬픔헤시오도스는 그들을 "눈물겨운 알게아"라고 불렀다.[25]
휘스미나이전투, 싸움퀸투스 스미르나이우스의 포스트호메리카에는 휘스미나이가 아킬레우스의 방패를 장식하는 이미지가 있다.[30]
마카이전투, 전쟁
포노이살인, 학살헤라클레스의 방패에는 포노스 (단수)가 헤라클레스의 방패를 장식하는 이미지가 있다.[37]
안드로크타시아이살인, 인간 학살헤라클레스의 방패에는 안드로크타시아 (단수)가 헤라클레스의 방패를 장식하는 이미지가 있다.[42]
네이케아싸움
프세우데아거짓말, 허위
로고이이야기, 단어
암필로기아이논쟁, 불분명한 단어
디스노미아무법, 나쁜 정부, 무정부 상태아테네의 정치가 솔론은 디스노미아를 이상적인 정부의 의인화인 에우노미아와 대조했다.[58]
아테망상, 무모함, 어리석음, 파멸헤라의 속임수에 의해 헤라클레스가 그의 출생권을 부인하는 것을 눈멀게 한 혐의로 제우스에 의해 올림포스에서 추방되었다.[64]
호르코스맹세위증의 맹세를 하는 모든 사람에게 가해지는 저주.[66]


4. 주요 신화

에리스는 주요 신화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펠레우스테티스의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사건은 그녀의 상징적인 이야기가 되었다. 이 결혼식에는 모든 신들이 초대받았지만 에리스는 제외되었는데,[68] 결국 그녀는 결혼식에 나타났지만 입장을 거부당했다. 분노한 에리스는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라고 새겨진 황금 사과를 하객들 사이에 던졌고,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세 여신이 이 사과를 차지하기 위해 다투게 되었다.[68] 이 사건은 파리스의 심판으로 이어졌으며, 트로이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다.

호메로스파리스의 심판을 언급했지만, 에리스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69] 이 이야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서사시 순환 중 하나인 키프로스 서사시에서 찾을 수 있다. 비록 현재는 유실되었지만, ''키프로스 서사시''의 산문 요약에 따르면, 에리스는 제우스테미스의 계획에 따라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 잔치에서 세 여신 사이에 "아름다움"을 놓고 불화를 일으켰다고 한다.[70]

헤시오도스는 그의 작품 ''일과 날''에서 두 가지 다른 에리스를 언급한다.[87] 하나는 "사악한 전쟁과 갈등을 조장하는" 비난받을 만한 에리스이고, 다른 하나는 제우스가 유익한 경쟁을 조장하기 위해 만든 "칭찬받을 만한" 에리스이다. 헤시오도스는 이 "선한 에리스"가 게으른 사람조차도 경쟁심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추구하도록 자극한다고 설명한다.[111]

에리스는 전쟁과 관련된 투쟁을 의인화하기도 한다.[74]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그녀는 아레스의 여동생으로 묘사되며, 양쪽 군대가 서로 싸우도록 부추기는 역할을 한다.[77] ''일리아스'' 4권에서 에리스는 아레스, 아테나 등과 함께 군대를 전투로 이끄는 신들 중 하나로 나타나며, 처음에는 작지만 점차 하늘로 머리를 치켜드는 모습으로 묘사된다.[80] 11권에서는 제우스가 에리스를 보내 그리스 군대를 격려하도록 하며, 에리스는 끔찍한 외침으로 아카이아 군의 전투 의지를 고취한다.[82] 에리스는 만족할 줄 모르는 유혈에 대한 갈망을 가진 존재로 묘사되며, 전장을 떠나는 마지막 신들 중 하나로 그려진다.[83]

헤시오도스의 ''헤라클레스의 방패''에서 에리스는 포보스("공포")의 머리 위를 날아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전쟁의 참혹함을 강조한다. 또한 아테나아이기스아킬레우스의 방패에도 에리스가 묘사되어 있다.[75]

4. 1. 파리스의 심판

에리스는 주요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펠레우스테티스의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것에 앙갚음하기 위해 "가장 아름다운 여신에게"라고 적힌 황금 사과를 던져 헤라, 아테나, 아프로디테 세 여신 간의 다툼을 일으켰다.[67][68] 이 다툼은 파리스의 심판으로 이어졌고, 파리스가 트로이의 헬레네를 납치하고 트로이 전쟁이 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67]

''파리스의 심판'' (1904) - 엔리케 시모네


호메로스는 파리스의 심판을 언급했지만 에리스에 대한 언급은 없다.[69] 이 이야기는 트로이 전쟁의 전체 이야기를 담고 있는 서사시 순환의 시 중 하나인 키프로스 서사시에서 언급되었다.[70] 현재는 유실된 ''키프로스 서사시''의 산문 요약에 따르면, 에리스는 제우스테미스의 계획에 따라 펠레우스와 테티스 (아킬레우스의 부모)의 결혼 잔치에서 세 여신 사이에 "아름다움"을 놓고 불화를 일으킨다.[70]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제우스는 세 여신에게 이데 산으로 가서 파리스의 심판을 받도록 명령한다. 파리스는 아프로디테로부터 자신을 선택하는 대가로 헬레네를 제안받고 그렇게 한다.[70]

야코프 요르다이스의 1633년 그림 《불화의 황금 사과》. 프라도 미술관 소장.


후대의 이야기에는 불화의 사과와 같은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72] 풍자 작가 루키아노스 (서기 2세기경)는 에리스의 사과가 "순금"이었고 "미의 여왕에게" (ἡ καλὴ λαβέτωgrc)라고 새겨져 있었다고 말한다.[73]

키프리아에 따르면, 에리스는 테티스펠레우스의 결혼식에 초대받지 못한 앙갚음으로 황금 사과를 연회장에 던져 세 여신 간의 다툼을 일으켰고, 이는 트로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114]

4. 2. 전쟁에서의 역할

에리스는 전쟁과 관련된 투쟁을 의인화한 존재이다.[74]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에리스는 아레스의 여동생이자 전우로 묘사되며, 양쪽 군대가 서로 싸우도록 부추기는 "군대를 자극하는 자"[79] 역할을 한다.[77]

''일리아스'' 4권에서 에리스는 아레스, 아테나, 데이모스("공포"), 포보스("도주")와 함께 군대를 전투로 이끄는 신들 중 하나로 묘사된다. 처음에는 고개를 숙이고 있다가 점차 하늘로 머리를 치켜드는 모습으로, 그녀의 영향력이 점차 커짐을 보여준다.[80]

11권에서 제우스는 에리스를 보내 그리스 군대를 외치도록 하며, 에리스는 끔찍한 외침으로 아카이아 군의 전투 의지를 고취시킨다.[82] 에리스는 유혈에 대한 만족할 줄 모르는 갈망을 가지고 있으며,[83] 전장을 떠나는 마지막 신들 중 하나로 묘사된다.[83]

헤시오도스의 ''헤라클레스의 방패''에서 에리스는 포보스("공포")의 머리 위를 날아다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전쟁의 참혹함을 강조한다.

아테나아이기스아킬레우스의 방패에도 에리스가 묘사되어 있으며,[75]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에서는 "사악한 전쟁과 갈등을 조장한다"고 묘사된다.[85]

4. 3. 헤시오도스의 두 가지 에리스

헤시오도스는 그의 ''일과 날''에서 두 가지 종류의 에리스를 언급한다.[87] 하나는 "사악한 전쟁과 갈등을 조장"하는 "비난받을 만한" 에리스이고, 다른 하나는 "칭찬"받을 만하며 제우스가 유익한 경쟁을 조장하기 위해 만든 에리스이다.[87]

그러므로 갈등은 단 한 번의 탄생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땅에는 두 개의 갈등이 있다. 이 중 하나는 그것을 알게 된 사람이 칭찬할 만하지만, 다른 하나는 비난받을 만하다. 그리고 그들은 완전히 상반된 정신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전자는 사악한 전쟁과 갈등을 조장하기 때문이다. 잔인한 것으로, 어떤 필멸자도 그것을 사랑하지 않지만, 불멸자들의 계획에 의해 억압적인 갈등을 존중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다른 하나는 어두운 밤이 먼저 낳았고, 에테르에 사는 크로노스의 높은 옥좌를 가진 아들이 그것을 땅의 뿌리에 두었고, 그것은 인간에게 훨씬 더 낫다. 그것은 무력한 사람조차 일하도록 자극한다. 왜냐하면 일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바라보는 사람, 밭을 갈고 심고 집을 정리하는 데 서두르는 부유한 사람을 보면, 그는 그를 시기하고, 한 이웃은 재산을 향해 서두르는 그의 이웃을 시기한다. 그리고 이 갈등은 인간에게 좋다.|ko|그러므로 ... (중략) ... 인간에게 좋다.grc

헤시오도스는 교훈시 『일과 날들』에서 두 종류의 에리스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한다. 한쪽은 혐오스러운 전쟁과 항쟁을 만연시키는 잔인한 에리스지만, 다른 한쪽은 닉스가 낳은 장녀이며, 게으름뱅이도 상대에 대한 시샘으로 절차탁마하는 투쟁심을 자극하는, 이로운 "선한 에리스"가 있다고 했다.[111]

5. 기타 언급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는 그의 저서 《변신 이야기》에서 폴리테크누스와 아에돈 부부의 이야기에 에리스를 등장시킨다. 폴리테크누스와 아에돈은 서로가 헤라제우스보다 더 사랑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분노한 헤라는 에리스를 보내 그들에게 불화를 일으키게 했다.[88]

에리스는 퀸투스 스미르나이오스의 《포스트호메리카》에서 여러 번 언급되는데, 이는 《일리아드》의 끝과 《오디세이아》의 시작 사이의 기간을 다룬다.[89] 《포스트호메리카》의 에리스는 《일리아드》에서와 마찬가지로 갈등을 조장하고,[90] 어느 편도 들지 않으며,[91] 소리치고,[92] 전투의 참극을 즐긴다.[93]

에리스는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에서도 언급된다. 제우스티폰의 서사시적인 대결이 시작될 때, 논노스는 니케(승리)가 제우스를 전투로 이끌게 하고, 에리스가 티폰을 이끌게 하며, 또 다른 구절에서는 전쟁의 여신 에뉘오와 함께 에리스가 전투의 양측에 "혼란"을 가져온다고 묘사한다.[94]

6.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에리스에 대한 미술적 표현은 확신하기 어렵다.[95] 초기에는 킵셀로스의 궤와 흑색상 컵 톤도(Berlin F1775)에서 그 모습을 찾을 수 있다.[96] 파우사니아스는 킵셀로스의 궤에서 에리스가 아이아스와 헥토르가 싸우는 사이에 서 있는 "가장 혐오스러운" 여자로 묘사된 것을 보았다고 기록했다.[97] 컵에서는 날개와 날개 달린 샌들을 제외하면 평범한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98]

기원전 5세기 후반 적색상 칼릭스 크라테르 윗부분에는 테미스와 마주 보고 있는 에리스가 격렬하게 논쟁하는 듯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아랫부분은 파리스의 심판을 묘사하여, 에리스가 ''키프리아''에서 이야기된 사건에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99]

6. 1. 고대 미술

에리스의 미술적 표현은 거의 확실하지 않다.[95] 초기에는 킵셀로스의 궤와 흑색상 컵의 톤도(Berlin F1775)에서 그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96]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킵셀로스의 궤에서 에리스가 아이아스와 헥토르가 싸우는 사이에 서 있는 "가장 혐오스러운" 여자로 묘사된 것을 보았다고 기록했다.[97] 컵에서는 날개와 날개 달린 샌들을 제외하면 평범한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98]

기원전 5세기 후반부터 적색상 칼릭스 크라테르의 상단 부분은 테미스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에리스를 묘사하는데, 격렬한 논쟁을 벌이는 듯 보인다. 하단 부분은 파리스의 심판을 묘사하여, 에리스가 ''키프리아''에서 이야기된 사건에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99]

6. 2. 갤러리

7. 문화적 영향

고전 동화 "잠자는 숲속의 미녀"는 펠레우스테티스의 결혼식에서 에리스의 역할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인다. 에리스처럼, 악의적인 요정이 공주의 세례에 초대받지 못하자 공주에게 저주를 내린다.[100][101]

에리스는 1957년 그레고리 힐과 케리 웬들 손리가 "부조리 농담"으로 만든 현대 디스코디아주의 종교의 주요 인물이다. 힐이 손리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쓴 종교의 풍자적 텍스트 ''프린키피아 디스코르디아''에서 신화화되었듯이, 에리스는 (명백하게) 힐과 손리에게 침팬지의 모습으로 밤샘 볼링장에서 말을 걸었다.[102]

"불화와 혼돈의 여신"인 에리스는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적대자로, "불화의 사과"를 휘두르는 버릇없고 부유한 여성으로 묘사된다.

악의적인 "불화와 혼돈의 여신"인 에리스는 드림웍스 2003년 애니메이션 영화 ''신밧드: 7대양의 전설''에서 신밧드와 그의 동맹에 맞서는 주요 적대자이다.

왜행성 에리스는 2006년에 이 그리스 여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3]

2019년, 뉴질랜드 나방 종인 ''이크누티카 에리스''는 에리스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04]

7. 1. 디스노미아

에리스의 딸인 디스노미아(무법)는 솔론에 의해 에우노미아(이상적인 정부)와 대조되었다.

7. 2. 디스코디아주의

에리스는 현대 디스코디아주의 종교의 주요 인물이다. 1957년경, 캘리포니아 주의 그레그 힐과 케리 손리는 에리스에게서 영감을 얻었다고 주장하며 종교, 혹은 그 패러디를 창립했다.[102] 힐이 손리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쓴 종교의 풍자적 텍스트 ''프린키피아 디스코르디아''에서 신화화되었듯이, 에리스는 (명백하게) 힐과 손리에게 침팬지의 모습으로 밤샘 볼링장에서 말을 걸었다고 한다.[102]

디스코디아니즘의 상징인 "신성한 카오". 오각형으로 상징되는 질서와 에리스의 황금 사과로 상징되는 혼돈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다.


그 교리는 자신을 포함한 모든 교리를 비웃고 초월하는 것이다. 또한, 이 종교에서는 조슈아 노턴을 성인으로 삼고 있다.

7. 3. 대중문화

고전 동화 "잠자는 숲속의 미녀"는 펠레우스테티스의 결혼식에서 에리스의 역할을 언급하는 것으로 보인다. 에리스처럼, 악의적인 요정이 공주의 세례에 초대받지 못하자 공주에게 저주를 내린다.[100][101]

에리스는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시리즈 빌리와 맨디의 무시무시한 모험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적대자로, 여기서는 "불화의 사과"를 휘두르는 버릇없고 부유한 여성으로 묘사된다.

악의적인 "불화와 혼돈의 여신"인 에리스는 드림웍스 2003년 애니메이션 영화 ''신밧드: 7대양의 전설''에서 신밧드와 그의 동맹에 맞서는 주요 적대자이다.

7. 4. 천문학

왜행성 에리스는 2006년에 이 그리스 여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3] 2005년에 발견된 이 천체는 이후 왜행성으로 분류되었는데, 행성의 정의에 관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는 에리스가 사람들 사이에서 언쟁을 일으켜 다툼과 불화를 초래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v. Eris https://oxfordre-com[...]
[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Publishers 2009
[3] 문서 OEtymD|Eris
[4] 웹사이트 s.v. Eris https://oxfordre-com[...]
[5]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6]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7] 문서 Gantz, p. 10, which notes the possible exception of Ate.
[8]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9]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10]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11] 문서 Gantz, p. 10.
[12] 웹사이트 LSJ http://www.perseus.t[...]
[13]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14] 웹사이트 Ponos https://referencewor[...]
[15]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16]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17] 웹사이트 Hard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19] 웹사이트 Hard https://books.google[...]
[20]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21] 문서 Caldwell, p. 40 on 212–232.
[22]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23]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24] 웹사이트 Hard https://books.google[...]
[25]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26]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27]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28] 웹사이트 Hard https://books.google[...]
[29] 문서 Caldwell, p. 40 on 212–232.
[30] 서적 Posthomerica https://www.loebclas[...]
[31]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32]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33] 문서 Caldwell, p. 40 on 212–232.
[34]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35] 웹사이트 Most 2018a https://www.loebclas[...]
[36] 서적 Gantz
[37] 서적 Shield of Heracles https://www.loebclas[...]
[38]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39] 서적 Hesiod Theogony https://archive.org/[...]
[40]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41] 서적 Gantz
[42] 서적 Shield of Heracles https://www.loebclas[...]
[43]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44]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45] 서적 Most 2018a https://www.loebclas[...]
[46] 서적 Gantz
[47]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48] 서적 Most 2018a https://www.loebclas[...]
[49] 서적 Caldwell https://archive.org/[...]
[50] 서적 Gantz
[51]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52] 서적 Most 2018a https://www.loebclas[...]
[53] 서적 Gantz
[54]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55] 서적 Most 2018a https://www.loebclas[...]
[56] 서적 Gantz
[57] 서적 Caldwell https://archive.org/[...]
[58] 웹사이트 Siewert https://referencewor[...]
[59]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60]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61] 서적 Most 2018a https://www.loebclas[...]
[62] 서적 Gantz
[63] 서적 Caldwell https://archive.org/[...]
[64]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65] 웹사이트 LSJ https://www.perseus.[...]
[66]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67] 서적 Hard https://books.google[...]
[68] 서적 Tripp
[69] 서적 Gantz
[70] 서적 Gantz
[71] 서적 Andromache https://www.loebclas[...]
[72]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73] 서적 Dialogues of the Sea-Gods https://archive.org/[...]
[74] 웹사이트 Eris https://referencewor[...]
[75] 서적 Iliad https://www.loebclas[...]
[76] 서적 Shield of Heracles https://www.loebclas[...]
[77] 웹사이트 Eris https://oxfordre-com[...]
[78]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79] 서적 Iliad https://www.loebclas[...]
[80] 서적 Iliad https://www.perseus.[...]
[81] 서적 Iliad https://www.loebclas[...]
[82] 서적 https://books.google[...]
[83] 서적 Iliad https://www.loebclas[...]
[84] 서적 Iliad https://www.loebclas[...]
[85] 서적 Works and Days https://www.loebclas[...]
[86]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87] 서적 https://books.google[...]
[88] 서적 Metamorphoses https://topostext.or[...]
[89] 서적 https://www.loebclas[...]
[90] 서적 Posthomerica https://www.loebclas[...]
[91] 서적 Posthomerica https://www.loebclas[...]
[92] 서적 Posthomerica https://www.loebclas[...]
[93] 서적 Posthomerica https://www.loebclas[...]
[94]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95] 서적 https://archive.org/[...]
[96] 서적
[97] 서적
[98] 웹사이트 207 https://www.beazley.[...]
[99] 웹사이트 Vase https://www.perseus.[...]
[100] 서적 A Handbook of Greek Mythology, Including Its Extension to Rome Kessinger Publishing
[101]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07-11-06
[102] 간행물 Abstract https://www.research[...]
[103] 웹사이트 2003 UB 313 named Eris https://astrogeology[...] 2006-09-14
[104] Q Q94481265
[105]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106] 서적 イリアス
[107] 서적 神統記
[108] 서적 神話集
[109] 서적 神統記
[110] 서적 アエネーイス
[111] 서적 仕事と日々
[112] 서적 イソップ寓話
[113] 서적 変身物語集
[114] 서적 文学便覧
[115] 서적 イリアス
[116] 서적 イリアス
[117] 서적 イリアス
[118] 서적 アエネーイス
[119] 서적 A Handbook of Greek Mythology, Including Its Extension to Ro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